본문 바로가기
출산육아 정보

가정양육수당 vs 어린이집 보육료,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

by GlowUpInfo 2025. 4. 21.

육아를 시작한 가정이라면 꼭 마주하게 되는 질문이 있어요.
바로 “어린이집을 보낼까? 집에서 키울까?”
그리고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양육수당과 보육료 지원 제도!

오늘은 이 두 가지 제도를 자세히 비교해드릴게요.
내 아이, 우리 가정에 가장 잘 맞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요. 😊

가정양육수당

1. 가정양육수당이란?

어린이집·유치원에 다니지 않고, 집에서 아이를 키우는 경우
정부에서 매달 현금으로 지급하는 양육 지원금이에요.

구분금액 (2025년 기준)
0~11개월 월 20만 원
12~23개월 월 15만 원
24~83개월 월 10만 원
  •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or 복지로 홈페이지 (https://www.bokjiro.go.kr)
  • 지급 방식: 현금(계좌 이체), 매달 25일 전후 지급
  • 대상 조건: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 (미등록 상태 유지 必)

💡 Tip: 어린이집에 단 하루라도 등원하면, 해당 월 양육수당은 지급되지 않아요!

 

 

2.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이란?

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면, 정부가 보육료를 직접 지원해주는 제도예요.
부모가 전액을 내는 것이 아닌,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일정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어요.

구분정부지원 보육료(기본형 어린이집 기준)

 

만 0세 (2025년) 약 월 52만 원
만 1세 약 월 46만 원
만 2세 약 월 39만 원
  • 신청 방법: 어린이집 등록 후 온라인 신청 (복지로 or 주민센터)
  • 보육료는 어린이집에 직접 지급되므로, 부모는 필요시 추가 비용만 부담

💬 어린이집 선택 기준
국공립 vs 민간, 종일반 vs 맞춤반 등
운영 시간과 보육 철학도 꼼꼼히 따져보세요!

 

 

3. 양육수당 vs 보육료, 어떻게 선택할까?

이제 고민이죠. 우리 아이에게 가정양육이 좋을까, 아니면 어린이집에서 또래와 어울리며 자라는 게 좋을까?

선택 포인트 요약! 👇

비교 항목가정양육수당어린이집 보육료
돌봄 장소 집 (가정 내 양육) 어린이집
월 지원금 10~20만 원 39~52만 원 상당 (직접 지원)
부모 상황 전업맘/외부 위탁 어려운 경우 적합 워킹맘/사회성 교육 희망 시 적합
신청 방법 복지로 or 주민센터 어린이집 등록 후 복지로
추가 비용 없음 간식비·특별활동비 발생 가능

📍 결론:

  • 전업육아를 선호하거나 외부 위탁이 어려운 경우 → 가정양육수당
  • 아이의 사회성 발달, 부모의 직장 복귀 등 고려 시 →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

 

4. 혼합은 가능할까? 반일 등원하면 어떻게 될까?

“아침엔 집에서 돌보다가, 오후엔 어린이집 반일만 보내면 안 될까?”
이런 고민 많으시죠?

 

💡 정답: No!
가정양육수당은 ‘어린이집 미이용’이 조건이기 때문에,
단 하루라도 어린이집에 등원하면 해당 월은 양육수당이 지급되지 않아요.
대신, 그 달은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금으로 전환돼요.

 

 

💬 마무리 꿀팁: 가장 중요한 건 우리 아이와 가족의 상황!

아이의 성향, 부모의 돌봄 여건, 육아와 직장의 균형 등 모든 가정은 상황이 달라요.

둘 다 정답일 수 있고, 시기에 따라 전환 선택도 가능해요.
예: 돌 전까지는 가정양육 → 이후 어린이집 등록 등

정부 지원 제도를 잘 활용해,
가장 건강하고 행복한 육아 환경을 만들어보세요! 🌱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