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출산육아 정보

2025년 기준, 영아수당 vs 부모급여 완전 정리

by GlowUpInfo 2025. 4. 22.

“내 아이에게 가장 유리한 정부 지원금은?”

아기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헷갈리는 영아수당부모급여.
2025년 현재, 이 두 제도는 중복되지 않고, 선택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.
각 제도의 대상, 금액, 지급 방식, 신청법 등을 꼼꼼하게 비교해드릴게요!

영아수당 부모급여

🍼 1. 영아수당이란?

2022년 도입되어 2024년까지 시행되던 제도로,
만 0~1세 아이를 직접 양육하는 가정에 현금으로 지원하던 수당이에요.

  • 지급 대상: 2024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아기 중
    가정에서 양육 중인 아동
  • 지원 금액:
    • 만 0세: 월 30만 원
    • 만 1세: 월 15만 원
  • 지급 방식: 현금(계좌 입금)
  • 종료 시점: 2024년을 끝으로 부모급여로 전환됨

🔍 2025년 현재는 신규 신청 불가, 기존 대상자만 2024년까지 수령 가능했어요.

 

 

🧸 2. 부모급여란?

2023년부터 본격 시행된 새로운 육아지원 제도!
만 0~1세 아동에게 양육수당 + 보육료 지원을 통합한 제도입니다.

  • 지급 대상:
    • 만 0~1세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(가정양육 & 어린이집 이용 모두 가능)
  • 지원 금액 (2025년 기준)
    • 만 0세: 월 100만 원
    • 만 1세: 월 50만 원
  • 지급 방식:
    • 가정양육 시 현금
    • 어린이집 이용 시 정부가 보육료로 지급 (현금X)

✔️ 부모급여는 아이가 출생한 달부터 만 2세가 되기 전 달까지 지급돼요.

 

 

🔍 3. 부모급여 vs 영아수당 비교표

항목영아수당 (2022~2024)부모급여 (2023~현재)
대상 만 0~1세 아동 (가정양육) 만 0~1세 아동 (모든 양육 형태)
지급액 최대 30만 원 최대 100만 원
지급 방식 현금 현금 또는 보육료로 직접 지급
신청 방법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
중복 여부 부모급여와 중복 불가 영아수당 종료 후 자동 전환

💡 중요! 부모급여는 기존 영아수당보다 금액이 크고, 혜택 범위도 넓어요.

 

📝 4. 부모급여 신청 방법 & 유의사항

📌 신청 방법

📌 유의사항

  • 출생 신고 후 즉시 신청 가능
  • 중복 수령 불가: 어린이집 이용 시 현금 수령 불가
  • 단, 어린이집 입소 전까지는 현금으로 지급돼요
  • 입소 날짜 기준 자동 변경되므로 따로 변경신청 필요 없음

 

 

💬 요약

👉 2025년 현재 영아수당은 종료, 부모급여가 메인 제도!
👉 부모급여는 가정 양육 시 현금, 어린이집 이용 시 바우처 지급
👉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 or 동 주민센터, 출생 후 빠를수록 좋아요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