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내 아이에게 가장 유리한 정부 지원금은?”
아기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 헷갈리는 영아수당과 부모급여.
2025년 현재, 이 두 제도는 중복되지 않고, 선택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.
각 제도의 대상, 금액, 지급 방식, 신청법 등을 꼼꼼하게 비교해드릴게요!
🍼 1. 영아수당이란?
2022년 도입되어 2024년까지 시행되던 제도로,
만 0~1세 아이를 직접 양육하는 가정에 현금으로 지원하던 수당이에요.
- 지급 대상: 2024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아기 중
가정에서 양육 중인 아동 - 지원 금액:
- 만 0세: 월 30만 원
- 만 1세: 월 15만 원
- 지급 방식: 현금(계좌 입금)
- 종료 시점: 2024년을 끝으로 부모급여로 전환됨
🔍 2025년 현재는 신규 신청 불가, 기존 대상자만 2024년까지 수령 가능했어요.
🧸 2. 부모급여란?
2023년부터 본격 시행된 새로운 육아지원 제도!
만 0~1세 아동에게 양육수당 + 보육료 지원을 통합한 제도입니다.
- 지급 대상:
- 만 0~1세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(가정양육 & 어린이집 이용 모두 가능)
- 지원 금액 (2025년 기준)
- 만 0세: 월 100만 원
- 만 1세: 월 50만 원
- 지급 방식:
- 가정양육 시 현금
- 어린이집 이용 시 정부가 보육료로 지급 (현금X)
✔️ 부모급여는 아이가 출생한 달부터 만 2세가 되기 전 달까지 지급돼요.
🔍 3. 부모급여 vs 영아수당 비교표
항목영아수당 (2022~2024)부모급여 (2023~현재)
대상 | 만 0~1세 아동 (가정양육) | 만 0~1세 아동 (모든 양육 형태) |
지급액 | 최대 30만 원 | 최대 100만 원 |
지급 방식 | 현금 | 현금 또는 보육료로 직접 지급 |
신청 방법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|
중복 여부 | 부모급여와 중복 불가 | 영아수당 종료 후 자동 전환 |
💡 중요! 부모급여는 기존 영아수당보다 금액이 크고, 혜택 범위도 넓어요.
📝 4. 부모급여 신청 방법 & 유의사항
📌 신청 방법
-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
- 주민등록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
📌 유의사항
- 출생 신고 후 즉시 신청 가능
- 중복 수령 불가: 어린이집 이용 시 현금 수령 불가
- 단, 어린이집 입소 전까지는 현금으로 지급돼요
- 입소 날짜 기준 자동 변경되므로 따로 변경신청 필요 없음
💬 요약
👉 2025년 현재 영아수당은 종료, 부모급여가 메인 제도!
👉 부모급여는 가정 양육 시 현금, 어린이집 이용 시 바우처 지급
👉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 or 동 주민센터, 출생 후 빠를수록 좋아요
반응형
'출산육아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공립 어린이집 vs 민간 어린이집 비교: 우리 아이에게 맞는 선택은? (0) | 2025.04.23 |
---|---|
어린이집 적응기: 첫 사회생활을 위한 준비와 꿀팁 10가지 (0) | 2025.04.22 |
다자녀 가정 혜택 총정리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4.22 |
가정양육수당 vs 어린이집 보육료,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 (0) | 2025.04.21 |
출산휴가 급여 총정리 & 신청 꿀팁 (0) | 2025.04.21 |